전체 글 16

[전자회로] 6. BJT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란 전력을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를 말합니다. 트랜지스터의 한 종류인 BJT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BJT 트랜지스터 BJT 트랜지스터는 반도체가 세 겹으로 쌓인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의 종류에는 n형과 p형 두 종류가 있기 때문에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BJT 트랜지스터는 세 개의 단자 콜렉터(Collector), 베이스(Base), 이미터(Emitter)를 가집니다. npn 트랜지스터는 컬렉터 -> 베이스 -> 이미터 로 전류가 흐릅니다. pnp 트랜지스터는 이미터 -> 베이스 -> 컬렉터 로 전류가 흐릅니다. 베이스 전압을 조절해 이미터와 컬렉터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을지, 없을지를 결정합니다.  BJT ..

전자회로 2025.01.27

[전자회로] 5. Ripple 전압

지난 글에서 Wave rectifier의 기능과 기본적인 회로 구조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Constant Voltage model에 의하면 다이오드를 통과하면 전압이 V_D,on 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오늘은 Constant Voltage model을 고려해 Wave rectifier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위의 회로를 거치면 교류 전압의 양의 부분만 남게 됩니다.  Constant Voltage model에 의하면 다이오드를 지나면서 V_D,on만큼 전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형태의 전압이 나타납니다. 위의 회로를 거치면 교류 전압의 양의 부분만 남게 되고, 캐퍼시터에 의해서 전압이 일정 시간 유지될 것입니다. 위 전압은 직류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지만 전압이 완전한 직류의 형..

전자회로 2025.01.23

[전자회로] 4. Wave rectifier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직류를 이용해 동작합니다. 하지만 전원은 교류로 공급되기 때문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Wave rectifier를 이용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고, Wave rectifier는 다이오드의 정류작용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위 그림과 같은 회로에 교류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교류 전압은 시간에 따라서 전압의 +와 -가 바뀝니다.  먼저 위쪽에 +전압이 걸리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이 경우 다이오드를 통과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급된 전압이 그대로 회로를 통과해 나옵니다.  아래쪽에 +전압이 걸릴 경우에는 위쪽에 -전압이 걸리면서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를 수 없습니다. 전류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전압이 0으로 나옵니다. 사인파의 교..

전자회로 2025.01.20

[전자회로] 3. 다이오드 회로 분석

이번 시간에는 문제를 통해 다이오드 회로를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1) 다음 회로의 V_in - V_out 관계를 Ideal model을 이용해 나타내시오 (V_B = 2V)전압 source가 달려 있는 회로의 경우 전압에 따른 다이오드의 동작점을 나누고, 각각의 경우에 의한 V_in - V_out관계를 구하면 됩니다. 위 회로의 경우 Cathode에는 V_in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Anode에는 V_B(2V)가 공급됩니다.Ideal model을 이용하면 Anode의 전압이 Cathode전압보다 높으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Cathode에는 V_in, Anode에는 V_B(2V)가 걸리기 때문에 V_in 2V면 전류가 흐를 수 없습니다. 전압 기준점을 찾았으니 이제 각각의 경우를 분석해보겠..

전자회로 2025.01.12

[전자회로] 2. Limiter

지난 시간에는 다이오드를 분석하기 위한 model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다이오드 분석 model을 바탕으로 Limiter 회로를 분석해 보겠습니다.1) Limiter Limiter는 전압을 제한하는 회로 입니다.지난 시간에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Anode의 전압이 Cathode보다 높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Limiter는 이 특성을 이용해 전압을 제한합니다.(1) 가장 기본적인 Limiter 회로입니다. Anode 전압이 Cathode 전압보다 높을 때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위 회로에서 Cathode의 전압은 0입니다. 따라서 Anode에 걸리는 전압이 0보다 클 때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Anode에는 V_in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V_in 0 이면 전류..

전자회로 2024.12.26

[전자회로] 1. 다이오드 분석 모델

0) 다이오드의 특성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기 위한 소자입니다. 다이오드는 회로도에서 아래의 기호와 같이 표시 합니다.다이오드의 기호에서 삼각형부분을 Anode(음극), 막대부분을 Cathode(양극)이라고 부릅니다. 다이오드는 Anode에서 Cathode의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흐름을 제어 합니다. 전류는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다이오드의 Anode쪽 전압이 Cathode쪽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작용을 '정류작용'이라고 부릅니다.다이오드에 걸린 전압은 Forward bias(순방향 전압)과 Reverse bias(역방향 전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Forwa..

전자회로 2024.12.23